

이 문제는 가장 기본적인 순열 문제이다.
하지만 라이브러리를 쓰지 않고, 직접 구현하라고 하면 할 수 있을까? 하는 생각이 들었다.
구현 방법은 dfs 백트래킹을 사용하여 모든 경우의 수를 구해주면 되겠다 싶었지만, 막상 코드를 작성하려 하니 손이 움직이지 않았다.
그러니 dfs로 구현해보자.

재귀를 사용했다.
- 재귀는 베이스 케이스를 잘 지정해야 한다. 여기선 개수가 m개일 때, 루프문을 나가는 것으로 하였다.
'개발 > 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 / Python] 파티_1238 (0) | 2021.04.20 |
---|---|
[BOJ] 좋은수열_2661 (0) | 2021.04.08 |
[BOJ] 행성 터널_2887 (0) | 2021.04.03 |
[알고리즘] 크루스칼 (0) | 2021.03.30 |
[알고리즘] 유니온 파인드(Union-Find) (0) | 2021.03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