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P프로토콜이란?
IP(인터넷 프로토콜)의 정의
각 IP 주소를 부여 받은 클라이언트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는 과정을 정의한 것이 IP 프로토콜(인터넷 프로토콜)이다.
IP의 역할
- 지정한 IP주소에 데이터 전달- 패킷이라는 통신 단위로 데이터 전달
+ IP 패킷에는 출발지IP, 도착지IP, 기타 등등의 정보가 있다.(또한 패킷의 경우, 특정 바이트 단위로 데이터를 나누게 되는데, 이때 밑에서 설명할 비신뢰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.
IP프로토콜의 한계
- 비연결성: 패킷을 받을 대상이 없거나, 서비스 불능 상태여도 패킷을 전송한다.
- 비신뢰성: 중간에 패킷이 사라지거나, 패킷이 순서대로 오지 않을 수도 있다.
- 프로그램 구분: 같은 IP를 사용하는 클라이언트에 애플리케이션이 두개 이상이라면 구분할 수 없다.
이러한 한계들로 인해 TCP가 등장하게 되었다.
TCP의 등장 배경
위와 같은 IP프로토콜의 문제점을 해결해주기 위해 등장했다.
IP의 비연결성 문제를 3 way handshake로 해결한다.
그 밖의 비신뢰성, 프로그램 구분 등의 문제도 해결해준다.
TCP/IP 패킷 정보
프로토콜 계층
UDP의 단점과 장점
IP의 단점의 대부분을 가지고 있지만, TCP보다 훨씬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.